Lipid는 주로 C, H로 이루어지며 소수성을 띤다. fat을 포함하는 개념이다. 스테로이드, 비타민 ADEK(지용성), Lipoprotein(=지단백 : 에너지 운반)이 속한다. Steroid hormone도 성분상 지질에 포함된다. Amphi/pathic(양서류처럼 친수성과 소수성 양쪽 다 가짐)한 성질이 있다.
지질 분류법 1
(1) 중성지방 : 에너지 저장
tri/glyceride = tri/acyl/glyceride = 글리세롤1 + 지방산3 (ester 결합)
wax(보호물질)
(2) lipoid 유지질
phospholipid, glyco/lipid, terpenoid
지질 분류법 2
(1) 단순지질 : 글리세롤과 지방산 ester결합
글리세민 : 글리세롤 + 지방산 1, 2, 3개
mono/di/tri- acyl/glyceride
3개 붙으면 중성지방
Wax
sterolester
(2) 복합지질 : 인산, 탄수화물 함유
인지질
glycolipid 당지질
단백지질(proteolipid) : myelin 구성
(3) 유도지질 : 지질의 가수분해로 생성
지방산, 스테롤, 탄화수소(squalene), 지용성 비타민 ADEK 등
Fatty acid(지방산)
긴 탄화수소 사슬 + 말단 카르복실기(-COOH)를 갖는다.
인체가 얻는 법 : 생합성, 중성지방 가수분해, esterified cholesterol 가수분해
1) 포화 : C(n)H(2n+1)COOH
C16 palmitate팔미트산, C18 stearate스테아르산
상온에서 유동성 낮고 주로 고체(탄소 수 적으면 액체), 동물성지방
2) 불포화 : 포화에서 수소가 줄어듦. 표기법은 탄소수:이중결합수;위치1.위치2
oleic acid(C18에서 9번째에 이중결합이 있음. 18:1;9)->linoleic acid(18:2;9.12)
palmitoleic acid(16:1;9)
cis결합, 상온에서 주로 액체, 식물성지방
불포화도가 높아질수록(이중결합이 증가할수록) 액체 상태가 되므로, 고체 마가린을 만들려면 hydrogenation으로 이중결합을 끊어서 포화시킨다.
* trans 불포화지방은 이중결합은 있으나 꺾이지 않음
* avidin 들어있는 날계란 먹으면 체내 biotin 결핍
Essential Fatty acid
Linoleic(가장 중요)(18:2;9.12)
linolenic, arachidonic acid
필수지방산은 식물에 많아서 식물 많이 먹어야함
기능)
PG의 원료
세포 내 구성 물질
미토콘드리아 막 구성
fatty liver 방지
콜레스테롤 대사
태아에 영양 전달
결핍 시...)
성장 부진
dermatitis
생식력 감소
지질 수송 부진
NSAID(Non-STEROIDAL ANTI INFLAMMATORY DRUG)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약 : aspirin, indomethacin
인지질
글리세롤 + 지방산 + 인산 + 질소 화합물 등
기능 : 막 투과성 조절, 지방산 흡수와 운반 등
lecithin 결핍 시 fatty liver 유발, PLA2는 lecithin에 작용
Sphingomyelin : two hydrocarbon chain. 뇌와 신경조직에 많이 함유
일종의 Sulfactant(폐 확장) 역할을 인지질이 함 :Tay-sachs disease 중요
Glycolipid(당지질)
cerebroside : 단일당+지방산+sphingosine
ganglioside : 회백질
terpenes : isoprene이 연결된 polyprenoid 화합물
squalene : 6 isoprene units
beta-carotene : 8 isoprene units
스테로이드
6각 세개, 5각 한개
-OH 가지면 스테롤
(ex. ergo/sterol 비타민D2 전구물질)
콜레스테롤 7번 하이드록실기 떨어지고 자외선(UV light) 맞으면 비타민D가 됨
피 속 콜레스테롤 LDL은 낮아야 좋다(Low니까...) / HDL은 많아야 좋다(High니까...)
지질의 반응
1. phase : 불포화될수록 액체
2. 수소 첨가 : 포화됨
3. 가수분해 : 비누는 알칼리에 의해 지방을 가수분해한다.
4. peroxidation : 지질이 산소에 노출되면 free radical 발생으로 암 걸릴 위험
bile acid
primary : 간에서 합성
secondary : 박테리아 작용
결과적으로 체내 지질 소화
지방산유도체
인지질이중층이 PLA2(스테로이드성 항염제 corticosteroid)에 의해 아라키돈산이 됨
아라키돈산이 COX2/COX1에 의해 프로스타글란딘(염증발열통증위점막보호)/트롬복산(혈소판응집)이 됨
아스피린(Non-Steroidal Anti-Inflammatory Drug)은 COX를 저해한다. -> 이거 먹으면 항염해열진통but위가 아픔 / 혈전형성 억제로 뇌경색 심근경색 방지
[의화학4/5]
'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심혈관계(Cardiovascular system), 림프계(Lymphatic system) 주요 용어 정리 (0) | 2023.12.19 |
---|---|
생명공학(Biotechnology) 관련 내용 정리 (0) | 2023.12.19 |
탄수화물(Carbohydrate) 관련 내용 정리 (1) | 2023.12.19 |
핵산(Nucleic Acid) 관련 내용 정리 (1) | 2023.12.18 |
면역화학(Immunochemistry) 주요내용 정리 (1) | 2023.12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