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4. 8. 19. 서양사의 대략적인 틀을 잡기 위해 읽었다. 서양사 대중강연이나 유튜브 수준의 교양 지식을 뛰어넘고 싶었는데 본격적인 1,000page짜리 개론서는 또 엄두가 나지 않고, 그래서 절충안으로 선택한 말랑말랑한 책이다. 왜 일본은 도쿄, 오사카, 나고야 등 여러 도시권이 균형있게 발전했는데 한국은 땅도 작으면서 유독 서울에 인프라가 집중되는지 궁금했었다. 막연히 생각한 답은, 국가가 발전할수록 수도 하나로는 모든 생산과 소비를 감당할 수 없기에 지방이 함께 발전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것이었다. 그런데 베이징, 상하이, 광저우 등 여러 도시권이 균형있게 폭풍성장을 이뤄내는 중국을 보면 이것도 아니었다. 한국인의 서울사랑은 대체 어디서 기인한 것일까 고민했다. 이에 대한 답을 생뚱맞게도 「..